본문 바로가기
절세·세금

증여세 면제한도 기간 10년 합산 기준,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질까요?

by 부자가되고싶은라이언♥ 2025. 5. 3.

증여세 면제한도 10년 합산 기준

증여세 면제한도 10년 합산 기준,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질까요?

“몇 년에 걸쳐서 나눠서 줬는데, 증여세는 언제 어떻게 계산하죠?”
가족 간 증여에서 가장 혼란스러운 주제 중 하나인 '10년 합산 기준', 지금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증여세의 10년 합산 원칙이란?

증여받은 날을 기준으로 과거 10년간 같은 사람(동일인)에게 받은 증여액을 모두 합산해 계산합니다.
신고 시점이 아니라, '받은 시점'이 기준이라는 점이 핵심!

예시로 살펴보자

  • 2017년: 자녀에게 2,000만 원 증여
  • 2025년: 자녀에게 4,000만 원 추가 증여

→ 2025년 증여 시점 기준, 과거 10년(2015~2025년)에 2,000만 원 증여 기록 있음
→ 따라서 2,000만 + 4,000만 = 6,000만 원 합산
성년 자녀 비과세 한도(5,000만 원) 초과 → 초과 1,000만 원에 대해 증여세 발생

 

 

 

 

10년 지나면 한도는 초기화됩니다

증여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새로운 비과세 한도가 생깁니다.

  • 예: 2014년 증여 → 2025년 추가 증여 시 합산 안 됨
  • 단, 동일인 기준! 

⚠️ 자주 하는 실수: 나눠서 입금했는데 신고 안 한 경우

예를 들어:

  • 2022년: 500만 원
  • 2023년: 600만 원
  • 2024년: 200만 원 → 총 1,300만 원

이렇게 나눠서 증여했지만 신고 안 했을 경우, 지금이라도 자진신고 가능합니다.
각 증여일 기준으로 계산되며, 합산한 총액으로 한 번에 신고도 가능합니다.

단, 증여한 '각 날짜'에 실제 돈을 준 증거(증빙)는 따로따로 확보

 

 

 

실전 절세 전략

  • 미성년자 증여: 10년간 2,000만 원까지만
  • 성년(만 19세 이상): 5,000만 원까지 가능
  • 10년 단위로 증여 계획 세우면 세금 최소화 가능
아들에게 증여 해 본 입장으로 여러번 나눠주지 말고
1살에 2000만원
11살에 2000만원
21살에 5000만원
이런식으로 깔금하게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Q. 8살에 2,000만 원 주고, 9살에 또 주면?
    → 10년 합산으로 계산하므로 4,000만 원. 초과 시 증여세 발생 가능
  • Q. 15살에 다시 증여하면?
    → 여전히 과거 10년간 받은 금액과 합산. 기존 증여 기록 초과 시 세금 발생
  • Q. 19세 이후 2,000만 원 증여하면?
    → 비과세 한도 5,000만 원 적용. 신고만 하면 세금 없음

 

 

 

📚 출처 및 참고자료

※ 본 포스팅은 위 공식 자료 및 실무 관행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핵심 요약

  • 증여세는 '받은 시점 기준'으로 과거 10년 합산해 계산
  • 10년 지나면 비과세 한도 리셋 가능
  • 자녀가 성인이 되면 한도도 커지므로 시기 조절이 절세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