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에게 증여한 돈, 투자수익에도 증여세를 또 내야 할까?
부모나 자녀, 형제자매 등 가족에게 돈을 증여하고, 그 돈으로 투자해 수익을 냈다면 증여세를 또 내야 할까요?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이 문제, 지금부터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투자수익은 수증자의 소득! 또 세금 내지 않습니다
가족 간에 증여가 이루어진 후, 받은 사람이 그 돈으로 투자해 수익을 낸 경우, 그 수익은 수증자(받은 사람)의 소득으로 봅니다. 즉, 그 수익에 대해 추가로 증여세를 낼 필요는 없습니다.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부모가 자녀에게 2,000만 원 증여
- 자녀가 이 돈으로 주식 투자 → 5,000만 원 수익 발생
👉 이때 자녀가 얻은 수익은 자녀 자신의 소득이기 때문에 추가 증여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 단, 명의신탁이면 과세 대상입니다
부모가 자녀 명의로 계좌를 만들어 운용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부모가 투자 결정을 했다면? 이 경우는 '명의신탁'으로 판단되어 부모의 소득으로 간주되거나 추가 증여로 과세될 수 있습니다.
👉 실질적 '운용 주체'가 누구인지가 세금 판단의 핵심입니다.
투자수익 관련 증여세 Q&A
- Q. 증여받은 돈으로 예금 이자, 월세 수익을 얻은 경우는?
→ 마찬가지로 수증자의 소득입니다. 추가 증여세는 없습니다. - Q. 자녀 명의 계좌인데 부모가 대신 굴리면?
→ 명의신탁으로 판단될 수 있어 과세될 수 있습니다. - Q. 수익을 재투자해 수익이 또 생긴 경우?
→ 여전히 자녀의 소득입니다. 증여세는 없습니다.
핵심 요약
- 가족에게 증여한 돈으로 생긴 수익은 '수증자(받은 사람)'의 소득
- 투자 수익에는 추가 증여세가 붙지 않음
- 다만, 명의신탁 형태면 과세 리스크 존재
💡 TIP: 가족에게 돈을 줄 땐 언제, 얼마를 줬는지 꼭 기록해두고, 운용도 해당 명의자가 직접 해야 안전합니다.
📢 같이 보면 좋은 콘텐츠 🔗 증여세 10년 합산 기준|시점 계산법·절세 전략까지 |
#가족간증여 #증여세 #투자수익과세 #명의신탁주의 #증여절세팁
'절세·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면제한도 기간 10년 합산 기준,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질까요? (12) | 2025.05.03 |
---|---|
[2025 연말정산] 경정청구로 환급 더 받는 꿀팁!(국세청 사진 첨부) (5) | 2025.05.02 |
4월 28일 이륜차 검사 시작! 과태료 폭탄 맞기 싫다면 지금 확인 (7) | 2025.04.28 |
전국 이륜차 검사소 리스트(검사 미루면 과태료 폭탄) (3) | 2025.04.28 |
ETF 수익에도 세금이? 폭탄 맞기 싫다면 국내·해외 ETF 절세법 확인 (ISA 포함) (5) | 202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