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세·세금

상속세 언제부터 나올까?|10억원 상속에도 세금 안 낼 수 있다?

by 부자가되고싶은라이언♥ 2025. 5. 20.

상속세, 10억 있어도 안 낼 수 있다는 메시지를 강조한 한국어 인포그래픽 썸네일 이미지.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공제 금액 총정리를 안내하는 bold한 디자인.

상속세 언제부터 나올까?|10억원 상속 받아도 세금 안 낼 수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로부터 주택 1채를 상속받았는데, 주변에서는 “10억원까지는 상속세 안 낸다”고 말합니다. 과연 그 말은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상속인 구성’과 ‘공제 항목’에 따라 상속세는 나올 수도, 안 나올 수도 있습니다.

 

📌 모든 내용은 국세청 자료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 상속세 계산의 핵심: 상속공제

상속세는 단순히 “10억 넘으면 과세”라는 단순 공식이 아니라, ‘총 상속재산 – 채무 – 공제’ 후 남는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 상속공제 금액은 상속인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속인 구성 공제항목 총 공제 가능 금액
배우자 + 자녀 기본공제 5억 + 배우자 공제 5~30억 최소 10억 ~ 최대 35억
배우자만 있음 기본공제 2억 + 배우자 공제 5~30억 최소 7억 ~ 최대 32억
자녀만 있음 기본공제 5억원 5억원

 

 

 

📌 추가 공제 항목도 있습니다

  • 💰 금융재산 공제: 최대 2억원
  • 🏭 가업상속 공제: 가업 승계 시 최대 500억원까지 공제 가능
  • 🌾 영농상속 공제: 농지 및 농업자산 최대 20억원까지 공제 가능

👉 상속세가 나올지 안 나올지 계산하려면?

아래의 공식으로 먼저 대략적인 세부담 여부를 판단해보세요.

상속세 과세표준 = (상속재산 총액) – (채무) – (공제)
상속세 납부 여부 = 과세표준이 0원 초과 시 과세 대상

 

✅ 결론: '10억까지는 무조건 비과세'는 틀릴 수 있습니다

주변에서 듣는 “10억까진 세금 안 나와”라는 말은 ‘배우자와 자녀가 모두 있을 경우’에만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상속인 구성, 공제 항목, 채무 등을 꼼꼼히 확인한 뒤에야 진짜 상속세 부담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상속세 계산이 고민된다면, 세무 전문가와 함께 시뮬레이션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상속세 #상속세10억 #상속공제 #상속세계산법 #상속세절세 #상속재산 #상속주택 #배우자공제 #자녀상속 #상속세신고 #유류분 #상속전략 #세금정보 #절세팁 #재산상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