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언제부터 나올까?|10억원 상속 받아도 세금 안 낼 수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로부터 주택 1채를 상속받았는데, 주변에서는 “10억원까지는 상속세 안 낸다”고 말합니다. 과연 그 말은 맞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상속인 구성’과 ‘공제 항목’에 따라 상속세는 나올 수도, 안 나올 수도 있습니다.
📌 모든 내용은 국세청 자료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 상속세 계산의 핵심: 상속공제
상속세는 단순히 “10억 넘으면 과세”라는 단순 공식이 아니라, ‘총 상속재산 – 채무 – 공제’ 후 남는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 상속공제 금액은 상속인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상속인 구성 | 공제항목 | 총 공제 가능 금액 |
---|---|---|
배우자 + 자녀 | 기본공제 5억 + 배우자 공제 5~30억 | 최소 10억 ~ 최대 35억 |
배우자만 있음 | 기본공제 2억 + 배우자 공제 5~30억 | 최소 7억 ~ 최대 32억 |
자녀만 있음 | 기본공제 5억원 | 5억원 |
📌 추가 공제 항목도 있습니다
- 💰 금융재산 공제: 최대 2억원
- 🏭 가업상속 공제: 가업 승계 시 최대 500억원까지 공제 가능
- 🌾 영농상속 공제: 농지 및 농업자산 최대 20억원까지 공제 가능
👉 상속세가 나올지 안 나올지 계산하려면?
아래의 공식으로 먼저 대략적인 세부담 여부를 판단해보세요.
상속세 과세표준 = (상속재산 총액) – (채무) – (공제)
상속세 납부 여부 = 과세표준이 0원 초과 시 과세 대상
✅ 결론: '10억까지는 무조건 비과세'는 틀릴 수 있습니다
주변에서 듣는 “10억까진 세금 안 나와”라는 말은 ‘배우자와 자녀가 모두 있을 경우’에만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상속인 구성, 공제 항목, 채무 등을 꼼꼼히 확인한 뒤에야 진짜 상속세 부담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상속세 계산이 고민된다면, 세무 전문가와 함께 시뮬레이션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상속세 #상속세10억 #상속공제 #상속세계산법 #상속세절세 #상속재산 #상속주택 #배우자공제 #자녀상속 #상속세신고 #유류분 #상속전략 #세금정보 #절세팁 #재산상속
'절세·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상속받으면 2주택자? 종부세 나올까 걱정된다면 꼭 읽으세요 (11) | 2025.05.20 |
---|---|
상속받은 집 가격은 어떻게 정해질까?|상속세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기준 (7) | 2025.05.20 |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차이|직장인과 사업자에게 필요한 세금 상식 (10) | 2025.05.05 |
증여세 면제한도 기간 10년 합산 기준,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질까요? (12) | 2025.05.03 |
[2025 연말정산] 경정청구로 환급 더 받는 꿀팁!(국세청 사진 첨부) (5)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