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받은 집 가격은 어떻게 정해질까?|상속세 신고 전 꼭 알아야 할 기준
돌아가신 부모님의 집을 상속받았는데, “이 집 가격을 얼마로 신고해야 할지” 막막하시죠?
상속세는 재산에 대한 과세이기 때문에, 주택의 '가격 평가'부터 정확히 해야 합니다. 그런데 가격을 매기는 기준은 세법에서 정해져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모든 내용은 국세청 자료를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 상속 주택 가격, 이렇게 결정됩니다
상속세 신고 시 재산 가격을 매기는 것을 '평가'라고 합니다.
같은 집이라도 거래가격, 공시가격 등 여러 기준이 존재할 수 있기에 세법에서는 우선순위를 정해두었습니다.
- 1순위: 실제 거래가격
상속받은 주택이 사망일 기준 전 2년 ~ 후 15개월 사이에 매매·경매 등으로 거래되었다면, 그 가격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 2순위: 유사 주택의 거래가격
상속 주택이 위 기간에 거래되지 않았다면, 주변의 비슷한 주택의 거래가격을 평가 기준으로 삼습니다. - 3순위: 공시가격
유사한 주택 거래도 없다면, 공동주택공시가격(아파트·빌라) 또는 개별주택공시가격(단독주택)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 용어 설명: 평가란?
‘평가’란 현금이 아닌 재산의 가치를 화폐로 환산하는 과정입니다. 상속세는 이 ‘평가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 유사 주택 거래가격 조회하는 법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접속 → 로그인
- [상속·증여재산 평가하기] 검색 후 클릭
- 해당 주택과 유사한 매물 검색 → 거래가격 확인
👉 직접 조회해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반응형
📎참고사항
- 경매, 감정평가, 공매 등을 통한 평가가 있으면 해당 금액도 인정
- 공시가격은 시세보다 낮을 수 있으니, 유사 주택 비교가 유리할 수도 있음
✅ 마무리: 가격 평가가 상속세의 시작입니다
“내가 상속받은 집, 얼마로 신고해야 하나?”는 상속세의 시작이자 핵심입니다.
신고 전 반드시 세법상 평가 순서를 따라 정확하게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세무 전문가의 도움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상속세 #상속주택 #집값평가 #상속세신고 #공시가격 #실거래가 #유사주택 #상속세절세 #주택상속 #재산평가 #상속세계산법 #국세청홈택스 #부동산상속
'절세·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상속세 개편안: 10억 아파트 상속세, 면제한도 이제 걱정 안 해도 된다! (10) | 2025.05.21 |
---|---|
주택 상속받으면 2주택자? 종부세 나올까 걱정된다면 꼭 읽으세요 (11) | 2025.05.20 |
상속세 언제부터 나올까?|10억원 상속에도 세금 안 낼 수 있다? (5) | 2025.05.20 |
연말정산과 종합소득세 차이|직장인과 사업자에게 필요한 세금 상식 (10) | 2025.05.05 |
증여세 면제한도 기간 10년 합산 기준, 어디서부터 어떻게 따질까요? (12)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