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시 주요 폭락 & 회복 비교 (S&P 500 vs 나스닥)
사건명 | 발생 시점 | 저점 도달 | S&P 500 낙폭 | 나스닥 낙폭 | 회복 완료 (S&P) | 회복 완료 (나스닥) |
---|---|---|---|---|---|---|
📌 닷컴 버블 | 2000.03 | 2002.10 | 약 -49% | 약 -78% | 2007.05 | 2015.06 |
📌 리먼 브라더스 | 2007.10 | 2009.03 | 약 -57% | 약 -55% | 2013.03 | 2015.04 |
📌 코로나 팬데믹 | 2020.02 | 2020.03 | 약 -34% | 약 -30% | 2020.08 | 2020.07 |
📌 고금리 긴축장 | 2022.01 | 2022.10 | 약 -27% | 약 -37% | 2023.07 | 2023.12 |
🧠 한눈에 보는 특징
- 닷컴버블 때 나스닥은 78% 폭락 → 회복에 무려 15년 걸림
- 리먼 때는 두 지수 모두 비슷하게 급락, 회복은 나스닥이 살짝 느림
- 코로나는 양쪽 다 초고속 회복
- 2022 긴축장: 나스닥이 더 많이 빠졌지만 회복은 2023년 말 완료
📉덤: 이번 낙폭, 얼마나 갈까?
✅ 현재 상황에 대입해 보면…
- 트리거: 미국의 對중국 추가 관세 가능성 및 기술 무역 규제 강화 → 글로벌 공급망·AI/반도체에 영향
- 시장 반응: 이미 나스닥과 코스피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 중
- 낙폭 규모: 현재 -10% 이내 수준 (테슬라 -40% 수준은 개별 이슈 포함)
- 저점 도달 예상: 정책 대응 or 실적 서프라이즈 전까지는 추가 하락 여지도 있음 (1~2개월?)
- 회복 예상 시점: 관세 이슈가 완화되거나, 금리 인하/실적 반등 기대 심리 회복 시 → 3~6개월 내 회복 가능성
🎯 결론적으로
"과거 미중 무역전쟁처럼 단기 충격이 될 가능성이 높고, 최대 6개월 이내 회복도 기대 가능.
단, 금리 인하 지연 + 실적 실망 등이 겹치면 회복은 더 지연될 수 있음."
'미국주식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카콜라는 관세 영향을 안 받을까? (4) | 2025.04.09 |
---|---|
라이다 vs 비전: 자율주행 기술의 운명을 가를 선택은? (0) | 2025.04.09 |
[미국 증시 분석] 2024년 상승장은 비정상? AI와 빅테크가 만든 편향된 강세장 (0) | 2025.04.07 |
미국 관세 폭탄, 아이폰 가격 얼마나 오를까? (0) | 2025.04.03 |
미국 vs 세계: 치솟는 관세, 무역 전쟁의 시작?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