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주식/이슈18

🌐 탈중앙화와 탈세계화,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때 ‘글로벌화’는 모두가 추구해야 할 성장의 공식처럼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세계는 정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바로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그리고 탈세계화(Deglobalization) 입니다.1️⃣ 탈중앙화, 권력의 분산탈중앙화는 특정 기관이나 국가에 집중된 권력을 나누자는 흐름입니다.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암호화폐 – 중앙은행이 아닌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금융 시스템☁️ Web3 – 사용자에게 데이터와 플랫폼의 소유권을 되돌려주는 새로운 인터넷🗳️ DAO – 참여자가 스스로 운영하는 조직, 자율성과 투명성이 핵심이 흐름은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닌 신뢰에 대한 새로운 접근입니다.“중앙을 믿지 못하겠다”는 인식이 디지털 기술.. 2025. 4. 10.
🌍 2025년 미국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흐름 정리 최근 미국이 발표한 대규모 관세 인상 정책으로 인해 전 세계 무역 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이에 따른 중국, EU 등 주요 국가들의 반응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미국, 중국산 제품에 최대 125% 관세 부과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0%에서 최대 125%까지 대폭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과 산업 보조금 등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됩니다.🔸 기존 관세: 20%🔸 추가 보복 관세: 24%🔸 합산 총 관세율: 최대 125%🇨🇳 중국의 즉각적인 대응중국 역시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미국산 제품에 대해 기존 34%에서 최대 84%까지 관세를 올릴 계획이며, 일부 전략 품목에 대해서.. 2025. 4. 10.
🥤 코카콜라는 관세 영향을 안 받을까? 최근 미국과 중국 사이의 고율 관세 정책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아이폰이나 전기차처럼 국가 간 수출이 활발한 제품들은 당연히 큰 영향을 받게 되죠. 그렇다면, 전 세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코카콜라 같은 글로벌 음료 브랜드는 어떨까요? 관세 영향을 받지 않을까요?  ✅ 1. 현지 생산 시스템코카콜라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직접 수출하지 않고, 현지 공장에서 생산해.예: 중국에 파는 코카콜라는 중국 공장에서 생산, 미국산 원액을 수입, 완제품은 중국내 유통따라서 무역 관세 영향이 제한적.✅ 2. 로컬 보틀링(병입) 시스템코카콜라는 전 세계적으로 ‘보틀러(병입업체)’에게 라이선스를 줘서 생산과 유통을 맡겨.이 구조는 제조부터 유통까지 현지에서 이루어져 관세 회피가 용이해.중국 → COFCO 코카콜라한국 .. 2025. 4. 9.
라이다 vs 비전: 자율주행 기술의 운명을 가를 선택은? ✅ 1. 정의 ✅ 2. 장단점 비교✅ 3. 테슬라의 전략: "Vision Only"일론 머스크는 라이다를 “바보 같은 짓(a fool’s errand)”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테슬라는 **FSD (Full Self-Driving)**를 오직 카메라 기반으로 구현.내부 AI 모델이 인간의 뇌처럼 카메라 영상만으로 판단하도록 훈련 중.장점: 하드웨어 비용 낮춤, 대규모 보급 가능성 ↑단점: 완전 자율주행 구현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음 (현재도 FSD 베타 단계)✅ 4. 라이다 진영의 전략Waymo (구글 자회사), Cruise (GM 자회사), Aurora 등은 라이다 기반.정밀지도(HD map) + LiDAR 센서 조합으로 고정된 경로 내 완전 자율주행 목표.장점: 기술적 완성도는 높음.단점: 지도 갱.. 2025. 4. 9.
이번 낙폭, 얼마나 갈까? 과거 무역전쟁도 6개월 안에 끝났다 📉 미국 증시 주요 폭락 & 회복 비교 (S&P 500 vs 나스닥)사건명발생 시점저점 도달S&P 500 낙폭나스닥 낙폭회복 완료 (S&P)회복 완료 (나스닥)📌 닷컴 버블2000.032002.10약 -49%약 -78%2007.052015.06📌 리먼 브라더스2007.102009.03약 -57%약 -55%2013.032015.04📌 코로나 팬데믹2020.022020.03약 -34%약 -30%2020.082020.07📌 고금리 긴축장2022.012022.10약 -27%약 -37%2023.072023.12🧠 한눈에 보는 특징닷컴버블 때 나스닥은 78% 폭락 → 회복에 무려 15년 걸림리먼 때는 두 지수 모두 비슷하게 급락, 회복은 나스닥이 살짝 느림코로나는 양쪽 다 초고속 회복2022 긴축장: 나.. 2025. 4. 7.
[미국 증시 분석] 2024년 상승장은 비정상? AI와 빅테크가 만든 편향된 강세장 2024년 미국 주식시장은 강한 반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끌어올렸습니다. 하지만 이 상승이 정말 '정상적인 회복'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습니다. 단순히 지수만 보면 긍정적이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꽤나 편향된 상승이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 상승의 합리적 근거들1. AI 수요 폭발2024년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테마는 단연 AI였습니다.NVIDIA, AMD, Microsoft, Meta 등 AI 관련 대형 기술주들이 압도적인 실적을 발표했고,AI 인프라 확대 기대감은 밸류에이션 상의 부담도 일시적으로 정당화시켰습니다.2. 경기 연착륙 기대감연준이 금리 인상 사이클을 마무리 짓고,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퍼졌습니다.이는 리스크 자산 전반.. 2025. 4. 7.
미국 관세 폭탄, 아이폰 가격 얼마나 오를까? 미국이 최근 발표한 고율 관세 정책이 글로벌 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애플(Apple)**은 이번 관세 조치로 인해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은 글로벌 공급망을 활용해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생산 과정에서 여러 번의 관세 부담을 안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애플의 복잡한 생산·유통 과정 & 관세 문제1) 부품 생산 (중국 & 아시아 여러 나라)애플 부품의 상당수가 중국, 대만, 한국, 일본 등에서 생산됩니다. 특히 **중국 내 부품 공장(폭스콘, BOE, CATL 등)**에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중요한 부품을 제작합니다.2) 미국으로 부품 수입 (관세 25%)일부 핵심 부품은 미국으로 수입해서 테스트하거나 추가 가공 후 다시 중국으로 보내.. 2025. 4. 3.
미국 vs 세계: 치솟는 관세, 무역 전쟁의 시작? 미국의 고율 관세 발표, 글로벌 무역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미국 정부가 발표한 고율 관세 정책이 전 세계 무역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최소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국가에는 최대 46%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등 매우 강력한 수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수출입국들의 반응과 경제적 영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미국의 새로운 관세 조치미국 정부는 특정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를 부과하면서, 수입품에 대한 최소 10% 기본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국가별 추가 관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중국: 34%유럽연합(EU): 20%베트남: 46%대한민국: 25%일본: 24%대만: 32%태국: 36%인도네시아: 32%특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는 25%의 관세가 부.. 2025. 4. 3.
반응형